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불청객이 있습니다.
비염 환자라면
공감할 수 있으실 텐데요
바로 지긋지긋한
콧물입니다.
비염 환자들은
기온이 낮아지는 동시에
코가 막히고
콧물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만성 비염 환자나
감기가 심한 환자 같은 경우
누런 콧물이 나오게 되는데
오늘은 누런 콧물이 나오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콧물의 색은 원래
맑고 투명한 색입니다.
맑은 색의 콧물은
정상적인 콧물이며
관리를 잘 해 준다면
며칠 사이로
증상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맑은 콧물이어도
2주 이상 계속
나아지지 않는다면
알레르기 비염 등을
의심할 수 있고
내원하여 약을 처방 받아
복용하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누런 콧물의 경우
감기가 악화되거나
만성 비염 환자에게서
많이 나타나게 됩니다.
누런 콧물이 나는 이유는
콧속 공간, 즉 부비동에
염증이 원인입니다.
부비동에 염증이
심해지게 되면
끈적끈적하고
누런 콧물이 생성되기 때문에
감기가 오랫동안 낫지 않거나
만성 비염 환자의 경우
누런 콧물이 많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보통 축농증이라 많이 불리는
부비동염은 기간에 따라
급성과 만성 두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기준은 3개월로
3개월 이상 증상이 계속될 경우
만성 부비동염일
가능성이 큽니다.
급성 부비동염은 주로
감기 환자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감기 바이러스가
콧속과 인후두 등
상기도에 침투하여
염증이 발생하게 되어
부비동염에 걸리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약 처방과 함께
면역력이 회복되면
증상이 금방 나아지게 됩니다.
만성 부비동염의 경우
누런 콧물이 쉬지 않고 나오고
목 뒤로 넘어가는 증상이
주로 나타납니다.
코가 자주 막혀
숨쉬기가 힘들고
코를 너무 자주 풀어
코와 입 주변이
허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증상이 심할 경우
후각이 감퇴하거나
집중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중이염 혹은 기관지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만성 부비동염은
약물치,료와 함께
식염수를 이용하여
콧속을 세척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고
코의 구조적 이상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상황의 경우
수,술적 치,료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감기와 독감 차이 알아봅시다. (0) | 2022.12.22 |
---|---|
구내염 종류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0) | 2022.12.16 |
비문증 혹시 눈의 이상인가요? (0) | 2022.12.07 |
우중충한 겨울 계절성 우울증 주의 (0) | 2022.12.06 |
눈이 침침할 때 해결방법 (0) | 2022.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