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질환

원인 모를 온몸의 통증 섬유근육통

일산화이트드림 2022. 12. 13. 11:16


50대 여성분들에서 가끔
두통, 피로함, 수면장애와 함께
온몸의 통증을 느끼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어
단순한 근육통으로 여기거나
몸살 등으로 생각하여
통증을 참고 지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전신의 통증이
3개월 이상 오래 지속된다면
섬유근육통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다소 생소할 수도 있는
섬유근육통이란
전신에 걸친 통증과
피로감, 수면 장애 등
일상생활이 불편할 정도의 통증이
3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질환입니다.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3~50대 중년 여성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남성에 비해 여성의 발병율이
더 높다고 합니다.

 


섬유근육통의 원인은
아직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현재 섬유근육통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세로토닌의 분비가 적고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환자가 많아 그에 관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신체가 통증에 민감해져
일상에서 느껴지는 자극들이
통증으로 느껴지게 
되는 것입니다.
스트레스가 섬유근육통 원인의
가장 큰 부분으로 꼽히며
감염성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혹은 자가면역질환 등의 질병에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섬유근육통의 대표적인 증상은
바로 전신성 통증입니다.
목, 어깨, 등의 통증이 
가장 많이 나타나며
고관절, 무릎, 가슴, 팔다리 등
신체 여러 부위에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통증과 함께 환자의 75% 정도에서
피로감과 수면 장애가 동반되고
우울증, 신경 과민, 집중력 장애 등
신경계 질환이 나타나기도 하며
두통, 위장 장애 등의
질환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통증에 대한 민감한 반응으로 
발생하는 섬유근육통은
기본적인 검,사로는
별 다른 이상이 나타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전신에 걸친 통증이
3개월 이상 긴 시간동안 계속된다면 
섬유근육통을 의심하고
이에 관하여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섬유근육통의 치,료는
운동요법과 함께 
질환에 대한 인식을 
변환하는 치.료와
약을 사용하여 수면 장애 등의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