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우리의 몸은 추운 환경에 노출되면
떨림과 근육 긴장, 대사량 증가 등을 통해 유지합니다.
정상적으로 체온을 유지하지 못하고
적정 체온 이하로 떨어질 경우
저체온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체온증이 오면
근육이 힘을 잃어 근육이 이완되고
맥박과 호흡, 혈압이 저하되는데요.
더 심할 경우 정신을 잃고
혼수상태에 빠져
목숨을 잃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추운 야외에서
작업을 하시는 근로자분들이라면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저체온증은 온도에 따라
경증, 중증도, 중증으로 구분합니다.
신체의 온도가 33~35˚C인 경증 저체온증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닭살 현상인 털세움근 수축 현상이
일어나고 피부가 창백해지면서
입술이 파래지게 됩니다.
중증도 저체온증은
29~32˚C의 상태를 말합니다.
심장박동과 호흡이 느려져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고,
근육 떨림이 멈추고 뻣뻣해지면서
동공이 확장됩니다.
중증 저체온증은
28˚C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나타나는데요.
혈압이 떨어져 의식을 잃거나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체온증 예방법
체온이 잘 유지될 수 있도록
따뜻한 복장을 착용하는 것이 기본이고,
노출이 많은 머리, 얼굴, 귀 등의
부위를 따뜻하게 해줘야 합니다.
저온인 상태에서는 에너지 손실이
많기 때문에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고 과로를 피해야 합니다.
또한 작업 현장 내 추위를 피할
난방시설을 갖추고
손 난로 등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도구를 활용해야 합니다.
수시로 스트레칭과 손, 발을
마사지하여 혈액순환을 도와줘야 합니다.
저체온증이 이미 발생했다면
젖은 옷을 빨리 제거하고
마른 담요로 따뜻하게 감쌉니다.
저체온증 환자는
심실세동, 부정맥이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심히 다뤄야 합니다.
따뜻한 물이나 음료수를 섭취하고
알코올과 카페인은 피합니다.
또한, 차가운 기운이 제거되도록
따뜻한 산소를 공급해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의식이 없어
심폐소생술을 하다가
심실세동이 촉발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겨울철에 주로 발생할 수 있는
저체온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체온증은 심하면
사망까지 이르게 될 수 있는
무서운 증상인데요.
저체온증 예방법을 참고하여
체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관리해 보시기 바랍니다.
등 담 푸는방법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아요. (1) | 2022.11.03 |
---|---|
동지날 먹는 음식 팥 어떤 효능이 있을까요? (0) | 2022.11.01 |
헌혈 가능한 조건 알아보아요. (0) | 2022.10.27 |
약 보관법 종류에 따라 달라요 (1) | 2022.10.25 |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문제 괜찮을까요? (0) | 2022.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