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구강작열감증후군, 입안이 화끈거려요

구강질환

by 일산화이트드림 2022. 12. 20. 10:59

본문


화끈하게 매운 음식을 먹고
입안이 화끈거리는 느낌을
느끼고 있다 보면
스트레스가 풀리는 기분이 듭니다.
하지만 간혹
이렇게 매운 음식을
먹지 않았는데도
입안이 화끈거리고
따가운 통증을
느끼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런 분들은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다소 생소하게 들릴 수 있는
구강작열감증후군
입안에 별다른 자극이
있지 않았는데도
입안이 타는 듯한 통증,
화끈거리는 통증이 
느껴지는 것을 말합니다.
증상이 심할 경우
혓바늘이 나거나
혀의 가장자리에
톱니 같은 치아 흔적이 남는
치흔설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혀가 갈라지는 증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남성보다는 여성의 발병률이 더 높고
폐경기의 중년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증후군입니다.
통증은 주로 혀에서 느껴지고
특정한 행동을 하지 않았는데도
계속 입안에 통증이 느껴져
일상 생활에 불편함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아직
어떤 원인으로 나타나게 되는지
분명하게 밝혀진 것이 없지만
과도한 스트레스나 호르몬의 이상으로
나타나게 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혹은 알레르기 반응, 약물의 부작용
구강건조증, 감상샘저하증,
구강 질환, 당뇨, 빈혈 등
여러 질병을 원인으로도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을 겪는
대부분의 환자분은
원인을 알 수 없는
입안 통증을 호소하며
병원에 내원하십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원인에 따라 치,료방법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갑상샘저하증, 
구내염과 같은 구강 질환 등
원인 질환이 뚜렷한 경우
증후군 치,료를 위해서는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해야 합니다.
원인이 사라지면
증후군 증상도 함께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됩니다.

 


여러 질환 이외에도
이 증후군은
심리적인 요인으로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있습니다.
증후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잘 들지 않는 경우
항우울제, 항불안제와 같은
신경계 약이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의.료진과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치,료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극을 받게 되면
더욱 심해지는 이 증후군은
증상이 있을 때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
통증이 더욱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삼가는 것이 좋으며
입안이 건조해지는 것을 막기위해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통증이 심할 때는
얼음조각을 입에
물고 있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지속되는 통증에
일상생활이 불편할 경우
내원하여 증상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하게 조치하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관련글 더보기